Search This Blog

대구서 코로나와 싸운 의료진 "지자체 규제 때문에 중환자 이송만 3번" - 조선비즈

banyakgayas.blogspot.com
입력 2020.06.19 19:00

의료진, 라면 먹을때도 공무원 허락 받아야… "우리가 거지냐"
생활치료센터 선임에 다른 일하던 행안부 과장 앉히기도
"의료진 정보대응체계 부족, 단체 카톡방으로 위기 넘겼다"
2차 유행 앞두고 대구 의료진 조언 방역망 강화에 반영해야

"중증 코로나 19 환자 이송 준비를 하루에만 세 번씩 한 적도 있었다. 중환자를 구급차에 태웠다고 내리고, 다시 태웠다가 다시 내린 것이다. 급하게 중환자를 다른 지역 병원으로 이송을 해야하는데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 승인을 안해줬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전 국가를 위기 상태로 몰아놓았던 대구에서 감염병과 사투를 벌였던 의료진들이 현장에서의 경험을 털어놓았다. 대구는 한국이 코로나19 대확산을 막아내 결과적으로 K-방역의 성공을 이끈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의료진이 맞닥뜨린 상황은 엄혹했다.

신경철 영남의대 교수가 19일 열린 ‘대구·경북에서 COVID-19 경험과 이를 바탕으로 한 대응방안’ 온라인 포럼에서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유튜브 캡처
19일 의학한림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공동으로 주최한 ‘대구·
경북에서 COVID-19 경험과 이를 바탕으로 한 대응방안’ 온라인 포럼이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실제 대구, 경북 지역에서 환자를 치료한 의료진들이 참석해 현장에서 직접 환자들을 치료한 경험을 공유했다.

신경철 영남의대 호흡기내과 교수는 이날 포럼에서 "코로나19의 가장 큰 특성은 짧은 시간에 폭발적으로 환자가 늘어났다는 점, 그리고 중증도가 굉장히 다양하며 질병의 악화 속도가 매우 빨랐다는 점"이라며 "거기에 ICU(중환자실) 재원 기간이 길기 때문에 병상 회전율이 낮았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대구, 경북 지역에는 중증환자 치료에 필수적인 음압병실도 부족한 상황이었다.

대구에서 폭발적으로 코로나19 환자가 늘면서 현지 의료자원 부족 문제가 심화되자 정부는 중증도에 따른 방역 체계를 선언했다. 하지만 현장에서 환자를 치료한 의료진들의 생각은 달랐다. 신 교수는 "우선 중증도에 따른 의료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의료진이 충분해야 하고 중환자 병상 확보가 필요하다"며 "게다가 중증환자를 관리하는 것보다 위중환자가 될 가능성이 높은 환자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더 어렵다. 결국은 권역을 벗어나, 전국적으로 중환자들을 공동으로 감당해주는 방법뿐이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지역간 중환자 치료 연계는 초반부터 삐걱거렸다. 신 교수는 "중환자를 이송하는 절차가 정말 복잡했다. 이는 의료적 절차에 비의료적 요소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환자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국립중앙의료원과 해당 병원이 있는 지자체 승인을 받은 이후에야 이송 의료기관으로 갈 수 있었는데, 이 허가가 나지 않아 하루에 환자를 구급차에 세번이나 태웠다 내리기를 반복한 적도 있다"고 털어놨다.

대구시와 관계 당국은 코로나19 확진자가 늘어나며 병상확보를 위해 지난 3월 2일부터 코로나19 경증 확진자를 중앙교육연수원에 수용해 치료해 왔다. /연합뉴스
이재태 경북대 핵의학과 교수는 컨트롤 타워의 부재를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 대구의 경증환자를 격리 하기 위해 개소한 생활치료센터에서 환자를 진료한 이 교수는 "처음 생활치료센터를 개소했을 때 앰뷸런스가 와도 누가 환자를 데려가고 어디에 데려가야하는 지도 모르는 상황"이었다며 "태어나서 처음 방역복을 입어본 의료진들이 준비를 하는 동안 추운 날씨에 수용소에 끌려가듯이 환자들이 입소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생활치료센터의 법적 정체성에 따른 문제도 있었다. 이 교수는 "생활치료센터가 법적으로 의료기관인지 아니면 감염병자 수용소인지 정체성이 불확실했다"며 "각 정부부처간 깜깜이 업무에 근무자간 갈등도 있었다. (기관의 정체성이 불분명하다보니) 의료진이 라면 하나 가져갈 때도 대구 공무원한테 허락을 받아야 했다. 의료진들은 ‘우리가 거지냐’라는 불만이 나오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뚜렷한 운영지침도 없고 부처간 의견이 다를 때도 많은 상황에서 의료진은 의료장비, 약제, 환자지침, 진료 프로토콜도 없이 환자들을 진료해야 했다. 이 교수는 "보건복지부 공무원들은 (환자 치료 과정이나 약물 사용 등에 대해) 혹시나 뭔가 잘못될까 책임지고 싶지 않아 했다"며 "컨트롤 타워가 없다보니 결국 행정안전부 과장이 가장 선임이라 보고를 했는데 원래 다른 업무를 하던 분이라 방역에 대해 아는 게 없었다"고 말했다.

K방역의 성공 요인 중 하나라는 ICT 기술도 의료진들에게는 그리 도움이 되지 못했다. 이경수 영남의대 예방의학실 교수는 "실제 현장에서는 수십개의 엑셀 파일 조각과 카카오톡 단체카톡방으로 위기를 넘겼다. (의료진의) 정보대응시스템이 가장 필요한 부분이며 현재 수도권의 대규모 감염 위협을 보면서도 이같은 부분이 가장 염려된다"고 우려를 드러냈다.

코로나19 2차 유행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가장 먼저 코로나 전투를 치렀던 대구 의료진의 이날 ‘솔직 토크’가 방역망 강화에 적극 반영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Let's block ads! (Why?)




June 19, 2020 at 05:00PM
https://ift.tt/2V1cwCC

대구서 코로나와 싸운 의료진 "지자체 규제 때문에 중환자 이송만 3번" - 조선비즈

https://ift.tt/2BZ5DeJ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대구서 코로나와 싸운 의료진 "지자체 규제 때문에 중환자 이송만 3번" - 조선비즈"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